플레이데이터 수료생 후기👨🎓
데브옵스 엔지니어,
진작에 도전할 걸 그랬어요! 👨💻

Q. 안녕하세요! 종진님, 자기소개 부탁드릴게요.
안녕하세요! 렌딧(LENDIT)에서 데브옵스 엔지니어로 근무 중인 김종진입니다!
저는 2022년 8월에 클라우드 부트캠프를 수료하고 현재 회사에 입사했어요. 이제 4개월차네요😀 렌딧은 핀테크 기업이고, 저는 서버에서 서비스가 잘 돌아가는지 검증하는 업무를 주로 맡고있어요.
Q. 회사 업무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렌딧은 2015년에 설립된 P2P 금융 서비스 스타트업으로, 중금리 개인신용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요. 저는 금융권의 보안 규제 사항이 반영된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업무를 맡고 있어요. 조금 더 쉽게 설명해드리면, 저희 회사 서버는 클라우드(AWS)와 데이터 센터(IDC)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어요. 데브옵스 엔지니어가 하는 일은 서버가 운영되면서 갑자기 접속이 안되거나, 속도가 느려지는 장애 상황이 있을 때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문제에 대해 대응하는 업무에요. IaC 및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개선해서 개발자분들의 개발환경을 자동화하고 운영 환경을 개선하는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고요.
Q. 개발 직무에 어떻게 관심을 갖게 되셨나요?
IT직무는 나이와 전공 상관없이 실력으로 평가 받는다는 점이 가장 매력적이었어요. 저는 해외 영업과 공무원을 준비했던 순수 문과 취준생이었고, 데이터센터에서 보안/운영 매뉴얼 번역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네트워크 엔지니어분들과 대화할 기회가 많았는데, 30대 초반이면 엔지니어를 하기에 늦지 않은 나이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IT 취업에 관심이 있었던 시기라 엔지니어분들 말씀을 듣고 확신을 갖게 되었고, 플레이데이터에 합류하게 되었어요!

Q. 여러 분야 중 클라우드 부트캠프를 선택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비전공자가 취업 시장에서 더 경쟁력 있는 분야가 무엇일까 생각해봤어요. 솔직히 개발은 조금 무섭기도 했고요😅 전공자가 4년 동안 준비했는데 내가 6개월 만에 따라갈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면서 자신감이 없기도 했고요. 클라우드는 아무래도 SW개발보다는 전공자도 잘 모르는 분야이다 보니까 같은 스타트선에서 시작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프로젝트 진행 횟수를 고려했어요.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본인이 직접 구축해봐야 한다고 생각했거든요. 플레이데이터는 5번의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었고, 그 중 자신있는 3개의 프로젝트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어요. 물론 국비지원이라는 점도 매력적이었고요!
Q.수강하며 어떤 부분이 가장 기억에 남으셨나요?
동료들이요! 저는 온라인으로 혼자 공부하는 것보다는 동료들과 함께하고 싶었어요. 부트캠프를 수료한 지금도 동료들과 함께한 스터디, 사이드 프로젝트를 많이 수행했던 점이 가장 큰 도움이 됐다고 생각이 들고요. 자기소개서를 쓸 때 누구나 말은 잘 할 수 있잖아요. 근데 저는 플레이데이터를 통해서 근거 있는 자기소개서를 쓸 수 있게 됐어요. '성실합니다' 대신 '수강하는 6개월 동안 블로그 글을 150개 이상 썼습니다' 라고 말할 수 있게 됐고요, '기획력이 있습니다' 대신 '부트캠프에서 4개의 스터디를 기획하고 운영했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게 됐어요. 그리고 클라우드 취업에 필요한 자격증도 5개까지 땄고요ㅎㅎㅎ

Q. 플레이데이터 후배분들을 위해 추천하실 자격증이 있으신가요?
2022년 12월 공정거래위원회의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 실태조사 연구'에 따르면 국내 민간기업 중에서 클라우드 점유율이 AWS가 75%, Google이 8%에요. AWS가 압도적이죠🤗 제일 많이 사용되는 AWS의 중급(SAA)까지는 필수로 따야한다고 생각해요. Azure, Naver 등 다른 클라우드 자격증은 선택이라고 생각하고요. 저는 취업할 때 자격증으로 어필하려고 5개를 땄는데, 관심있게 보는 분들도 있지만 그냥 넘어가는 경우도 많았어요. 자격증만으로 전문성을 어필할 수는 없으니 여러분은 꼭 필요한 자격증만 취득하시고 포트폴리오에 조금 더 집중해서 준비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Q. 블로그 이야기도 하셨는데, 취업에 도움이 되셨나요?
면접관 입장에서는 지원자들이 대부분 실력이 비슷하다고 평을 하는데, 꾸준한 블로그 작성은 '6개월 동안 150개 이상 블로그 글을 썼다'와 같이 저의 성실성을 수치화해서 보여줄 수 있어요. 그래서 도움이 됐다고 생각하고요.
짧게나마 블로그 작성 팁을 드리자면, 저는 매일 수업한 내용을 복습 차원에서 썼어요. 매일 쓰는게 힘들다면 단원별로 끊어서 쓰는 것도 좋아요. 중요한 것은 내가 정해놓은 주기에 맞춰서 꼭 쓴다는 마음가짐이에요. 그리고 취업 준비만을 위해 쓴다고 생각하면 힘들 수 있어요. 내가 공부한 것을 정리하고 내 생각을 정리한다는 생각으로, 기록한다는 생각으로 쓰다보면 글 쓰는 것에도 친숙해지고 어느새 습관이 되어 있더라고요.
👉 종진님이 부트캠프 수강 중 운영했던 블로그

Q. 현재 직무에 만족하고 계신가요 ?
저는 20대를 영업도 하고 공무원 준비도 하며 보냈는데 진작에 시작했으면 좋았겠다 하는 아쉬움은 있어요. 데브옵스 엔지니어가 된 지금 생활에 그 만큼 만족하고 있습니다! 특히 IT기업이 복지가 좋은 편인데 저희 회사는 주 4일 재택근무를 하고 있어서 더 만족스러워요ㅎㅎ

Q. 클라우드 직무 취업 전망이 궁금해요
아시다시피 클라우드 전망은 정말 밝아요. 2021년 행안부의 '제2차 전지정부 기본 계획'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까지 행정/공공 부문을 100% 클라우드로 전환하려고 하고 있어요. 정부가 주도하는만큼 민간기업에서도 클라우드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고요. 새로운 산업이 성장하면 취업은 경력직 또는 대학원생만 가능할거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현실은 경력직이 없는 상황이에요. 대부분의 회사에서 신입을 채용해서 키우자는 분위기고, 저희 회사도 마찬가지고요!
Q. 플레이데이터 교육이 실무에서 도움이 되고 있나요?
지금 제가 하고 있는 업무가 다 수강 중에 배운 것들이에요. 플레이데이터 교육 퀄리티가 정말 좋아요. 면접 볼 때도 실무에 필요한 기술 스택으로 잘 준비하셨다는 이야기도 들었고요. 다른 부트캠프와 많이 비교해봤는데, 확실히 플레이데이터 커리큘럼이 실무적인 기술 스택으로 잘 구성되어 있었어요.
👉 종진님이 취업 후 현재까지 운영 중인 블로그

Q. 앞으로의 계획과 후배분들을 위해 조언 한 마디 해주세요!
아직 입사한지 4개월 밖에 되지 않았지만 1인분을 제대로 하는 엔지니어가 되고 싶어요. 넓게 아는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컴퓨터 구조, OS, Database, 자료구조, 알고리즘 등 기초 지식을 쌓으려고 지금은 더 노력하고 있고요, 깊이 아는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리눅스, 네트워크, 파이썬, 테라폼에 대한 공부도 하고 있고요. 앞으로도 끊임없이 노력할 예정입니다ㅎㅎ
클라우드 부트캠프 후배님들은 취업 전까지 전공여부와 관계없이 개인의 스토리를 만드는 것에 집중하셨으면 좋겠어요.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면접관에게 보여줄지를 고민하셔서 취업 준비하시면 좋은 결과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클라우드 부트캠프 수료생 김종진님의 스토리
플레이데이터 수료생 후기👨🎓
데브옵스 엔지니어,
진작에 도전할 걸 그랬어요! 👨💻
Q. 안녕하세요! 종진님, 자기소개 부탁드릴게요.
안녕하세요! 렌딧(LENDIT)에서 데브옵스 엔지니어로 근무 중인 김종진입니다!
저는 2022년 8월에 클라우드 부트캠프를 수료하고 현재 회사에 입사했어요. 이제 4개월차네요😀 렌딧은 핀테크 기업이고, 저는 서버에서 서비스가 잘 돌아가는지 검증하는 업무를 주로 맡고있어요.
Q. 회사 업무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렌딧은 2015년에 설립된 P2P 금융 서비스 스타트업으로, 중금리 개인신용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요. 저는 금융권의 보안 규제 사항이 반영된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업무를 맡고 있어요. 조금 더 쉽게 설명해드리면, 저희 회사 서버는 클라우드(AWS)와 데이터 센터(IDC)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어요. 데브옵스 엔지니어가 하는 일은 서버가 운영되면서 갑자기 접속이 안되거나, 속도가 느려지는 장애 상황이 있을 때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문제에 대해 대응하는 업무에요. IaC 및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개선해서 개발자분들의 개발환경을 자동화하고 운영 환경을 개선하는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고요.
Q. 개발 직무에 어떻게 관심을 갖게 되셨나요?
IT직무는 나이와 전공 상관없이 실력으로 평가 받는다는 점이 가장 매력적이었어요. 저는 해외 영업과 공무원을 준비했던 순수 문과 취준생이었고, 데이터센터에서 보안/운영 매뉴얼 번역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네트워크 엔지니어분들과 대화할 기회가 많았는데, 30대 초반이면 엔지니어를 하기에 늦지 않은 나이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IT 취업에 관심이 있었던 시기라 엔지니어분들 말씀을 듣고 확신을 갖게 되었고, 플레이데이터에 합류하게 되었어요!
Q. 여러 분야 중 클라우드 부트캠프를 선택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비전공자가 취업 시장에서 더 경쟁력 있는 분야가 무엇일까 생각해봤어요. 솔직히 개발은 조금 무섭기도 했고요😅 전공자가 4년 동안 준비했는데 내가 6개월 만에 따라갈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면서 자신감이 없기도 했고요. 클라우드는 아무래도 SW개발보다는 전공자도 잘 모르는 분야이다 보니까 같은 스타트선에서 시작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프로젝트 진행 횟수를 고려했어요.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본인이 직접 구축해봐야 한다고 생각했거든요. 플레이데이터는 5번의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었고, 그 중 자신있는 3개의 프로젝트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어요. 물론 국비지원이라는 점도 매력적이었고요!
Q.수강하며 어떤 부분이 가장 기억에 남으셨나요?
동료들이요! 저는 온라인으로 혼자 공부하는 것보다는 동료들과 함께하고 싶었어요. 부트캠프를 수료한 지금도 동료들과 함께한 스터디, 사이드 프로젝트를 많이 수행했던 점이 가장 큰 도움이 됐다고 생각이 들고요. 자기소개서를 쓸 때 누구나 말은 잘 할 수 있잖아요. 근데 저는 플레이데이터를 통해서 근거 있는 자기소개서를 쓸 수 있게 됐어요. '성실합니다' 대신 '수강하는 6개월 동안 블로그 글을 150개 이상 썼습니다' 라고 말할 수 있게 됐고요, '기획력이 있습니다' 대신 '부트캠프에서 4개의 스터디를 기획하고 운영했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게 됐어요. 그리고 클라우드 취업에 필요한 자격증도 5개까지 땄고요ㅎㅎㅎ
Q. 플레이데이터 후배분들을 위해 추천하실 자격증이 있으신가요?
2022년 12월 공정거래위원회의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 실태조사 연구'에 따르면 국내 민간기업 중에서 클라우드 점유율이 AWS가 75%, Google이 8%에요. AWS가 압도적이죠🤗 제일 많이 사용되는 AWS의 중급(SAA)까지는 필수로 따야한다고 생각해요. Azure, Naver 등 다른 클라우드 자격증은 선택이라고 생각하고요. 저는 취업할 때 자격증으로 어필하려고 5개를 땄는데, 관심있게 보는 분들도 있지만 그냥 넘어가는 경우도 많았어요. 자격증만으로 전문성을 어필할 수는 없으니 여러분은 꼭 필요한 자격증만 취득하시고 포트폴리오에 조금 더 집중해서 준비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Q. 블로그 이야기도 하셨는데, 취업에 도움이 되셨나요?
면접관 입장에서는 지원자들이 대부분 실력이 비슷하다고 평을 하는데, 꾸준한 블로그 작성은 '6개월 동안 150개 이상 블로그 글을 썼다'와 같이 저의 성실성을 수치화해서 보여줄 수 있어요. 그래서 도움이 됐다고 생각하고요.
짧게나마 블로그 작성 팁을 드리자면, 저는 매일 수업한 내용을 복습 차원에서 썼어요. 매일 쓰는게 힘들다면 단원별로 끊어서 쓰는 것도 좋아요. 중요한 것은 내가 정해놓은 주기에 맞춰서 꼭 쓴다는 마음가짐이에요. 그리고 취업 준비만을 위해 쓴다고 생각하면 힘들 수 있어요. 내가 공부한 것을 정리하고 내 생각을 정리한다는 생각으로, 기록한다는 생각으로 쓰다보면 글 쓰는 것에도 친숙해지고 어느새 습관이 되어 있더라고요.
👉 종진님이 부트캠프 수강 중 운영했던 블로그

Q. 현재 직무에 만족하고 계신가요 ?
저는 20대를 영업도 하고 공무원 준비도 하며 보냈는데 진작에 시작했으면 좋았겠다 하는 아쉬움은 있어요. 데브옵스 엔지니어가 된 지금 생활에 그 만큼 만족하고 있습니다! 특히 IT기업이 복지가 좋은 편인데 저희 회사는 주 4일 재택근무를 하고 있어서 더 만족스러워요ㅎㅎ
Q. 클라우드 직무 취업 전망이 궁금해요
아시다시피 클라우드 전망은 정말 밝아요. 2021년 행안부의 '제2차 전지정부 기본 계획'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까지 행정/공공 부문을 100% 클라우드로 전환하려고 하고 있어요. 정부가 주도하는만큼 민간기업에서도 클라우드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고요. 새로운 산업이 성장하면 취업은 경력직 또는 대학원생만 가능할거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현실은 경력직이 없는 상황이에요. 대부분의 회사에서 신입을 채용해서 키우자는 분위기고, 저희 회사도 마찬가지고요!
Q. 플레이데이터 교육이 실무에서 도움이 되고 있나요?
지금 제가 하고 있는 업무가 다 수강 중에 배운 것들이에요. 플레이데이터 교육 퀄리티가 정말 좋아요. 면접 볼 때도 실무에 필요한 기술 스택으로 잘 준비하셨다는 이야기도 들었고요. 다른 부트캠프와 많이 비교해봤는데, 확실히 플레이데이터 커리큘럼이 실무적인 기술 스택으로 잘 구성되어 있었어요.
👉 종진님이 취업 후 현재까지 운영 중인 블로그
Q. 앞으로의 계획과 후배분들을 위해 조언 한 마디 해주세요!
아직 입사한지 4개월 밖에 되지 않았지만 1인분을 제대로 하는 엔지니어가 되고 싶어요. 넓게 아는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컴퓨터 구조, OS, Database, 자료구조, 알고리즘 등 기초 지식을 쌓으려고 지금은 더 노력하고 있고요, 깊이 아는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리눅스, 네트워크, 파이썬, 테라폼에 대한 공부도 하고 있고요. 앞으로도 끊임없이 노력할 예정입니다ㅎㅎ
클라우드 부트캠프 후배님들은 취업 전까지 전공여부와 관계없이 개인의 스토리를 만드는 것에 집중하셨으면 좋겠어요.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면접관에게 보여줄지를 고민하셔서 취업 준비하시면 좋은 결과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클라우드 부트캠프 수료생 김종진님의 스토리